'1980년 서울의 봄'은 민주화의 새싹이 움틀 뻔했다. 전두환 보안사령관의 집권으로 끝났지만, 만약 시위대의 요구대로 대통령 직선제 국민투표가 이뤄졌다면 결과는 어떠했을까. 이런저런 경로에서 접한 답은 다소 의외였다. 당시 권력투쟁을 벌이던 3김(김영삼·김대중·김종필) 중 김종필이 당선됐을 것이란 추정이었다. 국가권력 공백기의 국민적 불안감에다 충청·영남권의 강한 지지세를 가졌던 그가 유리했다는 분석이다. 김종필은 한국 정치사에 있어서 '영원한 2인자'로 불린다. 33세에 박정희(44세)와 5·16 쿠데타를 감행한 그는 박 대통령 아래에서 2차례 국무총리를 했다. '자의 반 타의 반'이란 유명한 말을 남기며 망명 아닌 망명길에도 올랐다. 후일 대통령이 된 김영삼·김대중에 비견하면 비운의 정치인이기도 하다.
'Chat GPT'에게 실세 2인자로 최정상에 오른 역사적 실례를 들어보라니 중국의 덩샤오핑(鄧小平·1904~1997)을 가장 먼저 꼽았다. 그는 1960년대 문화대혁명 이래 1인자 마오쩌둥의 견제를 받았지만, 이후 부총리 등을 거치며 2인자로 권력을 쥐었고, 이른바 그의 별칭이 된 오뚝이처럼 거듭 일어나 부여된 관직(국가 원수)과 별개로 완전한 1인자가 됐다. 1990년대까지 흑묘백묘론이란 실용주의 노선으로 '거인 중국'을 잠에서 깨웠고, 일선에서 물러나서도 장막의 1인자로 장쩌민(국가 주석)을 후계자로 지명했다.
한국 정치에 모처럼 2인자가 탄생했다. |